본문 바로가기
투자 및 재태크 일반

초보 금 투자 방법: 실물 금 vs ETF vs 금 통장, 뭐가 좋을까?

by 담담하게, 당당하게 2025. 2. 25.
반응형

현금 모아서 주식이나 ETF 투자하려 했더니 최근에 S&P나 나스닥 각종 지수들은 떨어지고 있고..., 그렇다고 코인도 분위기는 좋지 않은 것 같고..., 도대체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까요?, 단순하게 절약하는 것보다 돈을 놀리기 싫은데 말이죠 ㅜㅜ

출처: 머니투데이 - 전남 함평군 전시관에서 27억에 사서 211억이 되었다는 황금박쥐상입니다 ㅋㅋㅋㅋㅋ

그러다 문득 "요즘 금 시세가 장난이 아니라던데, 지자체도 금테크 한다던데(ㅋㅋㅋㅋㅋ), 도대체 금은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반인이, 초보가 금에 투자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목차

실물 금 투자: 나는 금을 직접 실물로 가지고 싶어!

금 ETF 투자 (금 관련 주식 투자): 투자는 주식으로 해야죠;;

금 통장 투자 (은행에서 금 적립하기): 금 파킹통장??

결론: 금 투자, 지금이라도 늦은걸까요?

 

 

실물 금 투자: 나는 금을 직접 실물로 가지고 싶어!

가장 기본적인 금 투자/구매 방법은 실물로 구매하는 것입니다. 주로 은행, 금 거래소, 주얼리샵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저는 특히 은행에서 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는데, 찾아보니 버젓이(?) 홍보하고 있더군요;;

출처: KB은행

 

금을 직접 구매할 경우, 장점도 있고 단점도 존재합니다. 특히 매매 시 부가세가 발생할 수 있고, 보관 및 도난 위험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 되겠네요...

장점

  • 실물 보유로 안전자산의 역할을 톡톡히 함
  • 금값 상승 시 직접적인 가격 상승 효과 기대 가능
  • 금융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실물 보유가 유리

단점

  • 매매 시 부가세(10%) 및 수수료 발생
  • 보관 및 도난 위험 있음
  • 단기 매매보다 장기 투자에 적합

 

참고로, 금 실물 거래에 구매량 제한 등은 없지만 반드시 신고할 필요가 있고, 금 거래소(한국거래소 KRX 금 시장)에서 구매해야 부가세가 없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구매량 제한은 없지만, 대량 구매 시 신고 필요

  • 개인당 금 구매에 법적 한도는 없음. 원하는 만큼 살 수 있음.
  • 하지만 2000만 원 이상 금을 현금으로 구매하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보고됨. (자금세탁 방지법)
  • 세관을 통한 해외 반출은 150g 이상이면 신고 의무가 있음.

2. 부가세(10%) & 세금 부담

  • 금은 재화로 분류되므로 실물 구매 시 10% 부가세 부과
  • 하지만 금 거래소(한국거래소 KRX 금시장)에서 구매하면 부가세 없음
  • 실물 금을 매각할 때는 양도소득세 없음 (단, 금 관련 파생상품은 과세될 수 있음)

3. 보관 문제 (은행 금고 vs 개인 보관)

  • 대량으로 구매하면 보관이 문제!
    • 안전한 보관 옵션: 은행 금고(렌트 비용 발생), 보안 업체 이용
    • 개인 보관: 도난 위험 고려 필요

4. 구매처에 따라 순도 & 인증 확인 필수

  • 정식 금 거래소, 은행, 신뢰할 수 있는 주얼리 샵에서 구매하는 것이 안전
  • 24K(99.9% 순금)인지 확인
  • 골드바나 금화 구매 시 인증 마크(예: 한국조폐공사, LBMA 인증) 확인 필수

 

 

 

금 ETF 투자 (금 관련 주식 투자): 투자는 주식으로 해야죠;;

두번째 금 투자 방법은 관련 ETF를 구매하는 것이구요,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국내에서는 부가세가 없는 "KRX금현물", 미국에서는 거래량이 가장 많은 "GLD"나 운용수수료가 낮은 "IAU" 정도가 있습니다!

 

국내 금 ETF

 

미국 금 ETF

 

그렇다면 이들의 수익률은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 특히 국내 KRX금현물과 미국 GLD만 비교해보면...,하... 진작에 여기에 투자할걸 그랬어요.. ㅜㅜ (이미 늦었겠죠??)

 

[국내 KRX 금현물] 1년 수익률 67.11%, 1개월 수익률 11.38%

 

 

[미국 GLD] 1년 수익률 44.27%, 최근 1개월 수익률 

GLD는 최근 1개월 수익률 44.27%입니다...
2월 중순부터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그래도 7.3% 성장했습니다

반응형

 

 

 

금 통장 투자 (은행에서 금 적립하기): 금 파킹통장??

마지막 방법은 금 통장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 상품처럼 취급되기 때문에 이율이 제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금을 예치하면 금 시세에 따라 잔액이 변화하는 방식입니다

출처: KB국민은행

장단점으로는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지만(1g 단위), 인출 시 배당소득세가 발생하니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매차익에 따른 배당소득 15.4%...)

장점

  • 소액으로도 투자 가능 (1g 단위로 적립 가능)
  • 실물 금과 달리 부가세가 없음
  • 금 가격 변동에 따라 자유롭게 매매 가능

단점

  • 인출 시 15.4% 배당소득세 발생
  • 실물 금 인출 시 부가세 부과
  • 장기 투자 시 실물 금보다 비용이 더 들 수 있음

 

 

결론: 금 투자, 지금이라도 늦은걸까요?

궁금증에서 시작된 조사였지만, 결과적으로 "내 투자 포트폴리오에 금도 포함시켜 보자!"라는 후회와 반성이 남는 조사가 되었네요 (ㅋㅋㅋㅋ)

 

말 나온 김에 2025년에도 금 값이 오를지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골드만삭스 등 기관들은 여전히 더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자 기준 금 시세는 1온스당 약 2,937달러이구, 골드만삭스 등 기관에서는 3,200~3,300이상 갈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출처: 토스뱅크

 

당장 투자하는게 좋다 아니다 말하긴 뭐하지만, 폭 넓게 투자의 범주를 넓혀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저처럼 후회하지 마시구...)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2025.02.25 - [투자 및 재테크] - 미국 대표 ETF 비교! SPY vs QQQ, 수익률과 구성 차이를 알아보자

 

미국 대표 ETF 비교! SPY vs QQQ, 수익률과 구성 차이를 알아보자

다들 성투하고 계신지요?, 저는 이제는 본격적으로 재태크 공부에 들어가면서 문득 제가 알고 있는 ETF가 상당히 적다는 생각이 들어 조사를 좀 해봤습니다오늘의 주제는 안정적이면서 꾸준히

kickstarter.tistory.com

2025.02.24 - [투자 및 재테크] -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 소액 투자 방법: 100만원 이하로 시작하는 투자 섹터추천 (최소 연 평균 10% 이상 수익률)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 소액 투자 방법: 100만원 이하로 시작하는 투자 섹터추천 (최소 연 평균 10%

오늘은 사회초년생이 할 수 있는 세액공제에 더불어, 재테크, 투자를 위해 어떤 상품들을 고민해볼 수 있는지 상위수준에서(?) 러프하게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참고로, 과거 2년간 연 평균

kickstarter.tistory.com

2025.02.04 - [투자 및 재테크] - 1억 목돈 굴리기 - 부지런하면 챙길 수 있는 목돈, 소액 재태크

 

1억 목돈 굴리기 - 부지런하면 챙길 수 있는 목돈, 소액 재태크

여러분들은 여웃돈이 생기면 어디에 저금해 놓으시나요?, 주식, 부동산 투자를 위해 돈은 악착같이 모으지만, 잠깐 모아놓은 여윳돈은 입출금 계좌에 방치해놓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오늘은 단

kickstarter.tistory.com

반응형